퇴직연금, 절세계좌 및 일반계좌에서 많이 투자하고 있는 ETF인 미국 나스닥100 ETF에 대하여 같이 공부해보고 국내상장 미국 나스닥100 ETF도 비교해 보겠습니다.
ETF란?
나스닥100 ETF를 알아보기 전에 ETF에 대해서 먼저 공부해보겠습니다.
ETF(Exchange Traded Fund)는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투자자들이 개별 주식을 고르는데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펀드투자의 장점과, 언제든지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주식투자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품으로 인덱스펀드와 주식의 장점을 합쳐 놓은것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미국 나스닥100 ETF란?

미국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 중 금융주를 제외한 100여가지 주식을 기초 자산으로 만들어진 ETF로 시총 기준으로 가중 투자된 자산을 가지고 있습니다. 금융주가 제외된 주 보유 자산이 IT와 healthcare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전형적인 성장주 ETF라고 할 수 있습니다. 티커(TICKER)는 QQQ입니다. 운용 보수는 연 0.2%로 미국 상장 ETF 중에서는 많은 편에 속합니다.
QQQ의 장점
1. 장기적 성장 잠재력 기술주 혁신 기업에 투자 비중이 높은 만큼 앞으로의 성장 잠재력이 더욱 기대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2. 높은 유동성매우 유동성이 높은 ETF로, 거래량이 많아 언제든지 매입 및 매도가 용이합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시장 상황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QQQ의 단점
1. 높은 주가성장주를 대표하는 ETF인 만큼 1주당 가격이 25.01.20 기준 521.74 달러입니다. 현재 환율 1450 기준으로 756,836원으로 높은 주가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2. 높은 운용 보수
다른 미국 ETF에 비하여 높은 운용 보수입니다. SPY, VOO 등 각각 0.09, 0.03의 수수료를 가지고 있는 만큼 조금 더 비싼 운용 보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3. 높은 변동성기술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시장 변동성이 클 때 주가 등락폭이 큽니다. 기술주 섹터 전반의 약세가 나타날 경우 주가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QQQ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엔 퇴직연금 및 절세계좌에서 투자 할 수 있는 국내 상장 ETF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상장 미국 나스닥100 ETF는 TIGER KODEX ACE RISE 미국 나스닥100 ETF가 있습니다. 각 미래에셋, 삼성, 한국투자, KB 자산운용사에서 운용 중인 상품입니다.
모두 나스닥100을 추종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수익률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래서 국내 상장 ETF를 비교할때는 실부담비율을 비교해야 합니다. 현재는 KODEX 운용사 실부담율이 제일 적습니다. 수익률이 거의 차이가 없는 만큼 장기투자에 있어 낮은 수수료가 중요해 보입니다. 현재 25년 7월부로 모든 ETF TR 상품 폐지가 확정되었습니다. KODEX 미국나스닥100TR 상품은 PR 상품(분기 배당)으로 전환 될 예정입니다. 이미 상품을 가지고 있는 분들도 자동으로 전환 예정입니다. 또한 수수료도 지금이랑 동일하게 운용된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 TR 상품이란 TOTAL RETURN의 약자입니다. 나스닥100 ETF의 경우 정해진 달에 분배금을 받습니다. 이때 일반계좌의 경우 배당소득세 15.4%를 제외한 금액을 받게 됩니다. TR 상품의 경우 이 분배금을 배정하지 않고 상품에 재투자로 녹여 자동으로 배당 재투자를 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하지만 지금 당장에 수수료가 조금 높다고 해도 장기적으로는 더 낮아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지금 투자하고 있으신 상품이 있다면 무리해서 다른 운용사로 바꾸기 보다는 꾸준히 장기 투자를 하는것이 중요해 보입니다.
이렇게 나스닥100 ETF(QQQ)에 대하여 알아보고 나아가 절세 계좌에서 투자 할 수 있는 국내 상장 ETF에 대하여 비교해 보았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급여 신청방법 간단정리! (0) | 2025.01.24 |
---|---|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0) | 2025.01.23 |
연금저축, IRP(개인형 퇴직연금) 사용설명서 (0) | 2025.01.21 |
ISA 계좌 활용 및 혜택 알기 쉽게 정리 (4) | 2025.01.20 |
2025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feat. 토스, 홈택스 (0)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