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오늘, 조금이라도 혜택을 받으며 투자할 수 있도록 ISA 계좌를 공부해 봅시다.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란?
ISA란 정부에서 도입한 제도로, 다양한 금융상품의 투자와 관리를 한곳에서 할 수 있는 계좌를 말합니다.
연금은 아니지만, 일정 가입 기간을 채울 시 연금저축계좌나 IRP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만능 계좌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소득에 따라 일반형, 서민형, 농어민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 가입 조건: 19 이상 누구나(금융소득종합과세자 제외)
- 납입 한도: 연 2,000만 원, 최대 5년간 1억 원까지 가능
- 상품: 예적금, 국내 주식, ETF, ELS, 리츠 등
- 특징: 단기 운용이 가능하고 비과세•분리과세 혜택이 크며, 의무가입기간 3년을 채우면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ISA 계좌 혜택
1. 비과세 적용
예금, 적금을 하게 되면 이자에 대한 소득세 15.4%를 납부하고, 주식은 배당금에 대한 배당소득세 15.4%를 내야 합니다.
ISA에서는 이런 세금을 최대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줍니다. 그리고 200만 원이 넘어갈 경우, 15.4%가 아닌 9.9% 분리과세를 적용합니다.
2. 과세 이연 적용
예적금 이자, 배당금을 받을 때가 아닌 ISA를 해지하는 날에 세금을 납부할 수 있습니다.
예적금 이자, 배당금 재투자를 통해 복리 효과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세금 절세 효과를 통해 효율적인 재테크가 가능합니다.
ISA 계좌 단점
1. 의무운영 기간 3년
비과세 및 과세 이연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 3년 동안 계좌를 운영해야 합니다.
중간에 계좌를 해지한다면 그동안 받았던 혜택을 반납해야 합니다.
2. 해외 주식 투자 불가
해외 주식 및 해외 ETF 직접 투자는 불가합니다.
대안으로 우리나라 금융사가 운영하는 국내 주식에 상장된 해외 주식형 ETF는 투자 가능합니다.
EX) TIGER 미국 나스닥 100, TIGER 미국 S&P500 등
2025 ISA 계좌 개편안 알아보기
ISA 계좌 혜택을 증대하기 위해 진행되고 있는 개편안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ISA 제도 주요 변경사항
1. 납입 한도 확대
현행 제도: 연간 2,000만 원, 총 1억 원
개편안: 연간 4,000만 원, 총 2억 원
2. 비과세 한도 상향
일반형: 200만 원 → 500만 원
서민•농어민형: 400만 원 → 1,000만 원
3. 금융소득종합과세자 가입 허용
기존에는 가입이 불가했던 금융소득종합과세자도 ISA 계좌를 개설할 수 있게 됩니다.
이 경우 비과세 혜택은 없지만 분리과세 혜택을 받아 절세가 가능합니다.
ISA 계좌 장•단점 및 앞으로 개편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장기 투자하는 데 있어 꼭 필요한 절세 계좌라고 생각합니다.
아직 가지고 있지 않다면 ISA 계좌를 개설하여 혜택을 챙겨 투자해 보시기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급여 신청방법 간단정리! (0) | 2025.01.24 |
---|---|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0) | 2025.01.23 |
미국 나스닥100 ETF에 대해 공부해보기 (4) | 2025.01.22 |
연금저축, IRP(개인형 퇴직연금) 사용설명서 (0) | 2025.01.21 |
2025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 feat. 토스, 홈택스 (0) | 2025.01.19 |